부산항 등 '스마트항만'으로 바꾼다...블록체인 플랫폼 등 구축 �썝臾
사무국 2020.04.27 828

스마트항만에 사용되는 무인 야드드택터. 해양수산부 제공

스마트항만에 사용되는 무인 야드드택터. 해양수산부 제공

해양수산부가 부산항 등 우리나라의 주요 항만을 ‘스마트항만’으로 바꾸는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우리나라 수출입물류의 국제 경쟁력 높이기 위한 것이다. 해수부는 현재 세계 25위권인 우리나라의 수출입물류 경쟁력 순위를 2030년까지 10위권으로 끌어올리겠다고 20일 밝혔다. 

정부는 이날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제101차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열고 해양수산부의 ‘수출입 물류 스마트화 추진방안’을 심의·확정했다. 

해수부 관계자는 “이번 방안은 육·해상 물류의 연결점인 항만을 중심으로 IT(정보기술) 기반의 4차 산업혁명기술을 수출입 물류 전반에 적용함으로써 물류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라면서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수출입물류 경쟁력을 대폭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우선 항만의 자동화·지능화가 추진된다. 해수부는 항만 안에서 움직이는 크레인·야드트랙터 등 주요 장비의 실시간 위치·상태와 작업정보 등을 수집·분석한 뒤 터미널 운영사가 최적의 항만 운영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힘을 쏟기로 했다. 

특히 부산항의 경우는 터미널 간 환적화물과 빈 컨테이너를 운반하기 위한 순환레일을 설치하고, 이에 필요한 서류작업 등을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터미널 연계 효율화 사업’을 추진, 환적 등을 위한 시간·비용은 물론 혼잡도를 줄여나가기로 했다. 

해수부는 선박과 트럭에 항만 이용가능시점과 하역 완료시점에 대한 예측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항만에서 대기하는 시간을 줄이고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이밖에 항만 내 실시간 화물처리 상황과 검역·통관정보 등을 공유할 수 있는 ‘항만정보통합플랫폼’도 도입해 나가기로 했다. 

해수부는 이런 방안을 추진하면 2025년까지 선박의 항만대기시간과 트럭의 화물 반·출입 소요시간은 50% 감축하고 환적비용은 40%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또 물류 관련 스타트업 300개를 창업하고, 이를 통해 1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해수부 관계자는 “최근 온라인을 바탕으로 한 무역이 급증함에 따라 물류 데이터 분석을 통한 소비예측 및 사전배송 등의 데이터 기반물류 서비스가 발달하고 있다”면서 “특히 독일, 싱가폴, 네덜란드 등 주요 선진 물류 국가를 중심으로 4차 산업혁명기술을 접목한 물류 효율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네덜란드 로테르담항은 선사·항만공사·세관이 화물입출항·하역작업·통관 등과 관련된 정보를 플랫폼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항만 이용 주체들이 항만 내 작업 현황을 공유, 연간 약 2억5000만유로의 비용을 절감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무역 의존도가 아주 높은데도 불구하고 물류 효율화 체계가 선진국에 크게 뒤져 있는 실정이다.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은 “‘수출입 물류 스마트화 추진방안’은 세계적인 통상국가인 대한민국의 위상에 걸맞는 수출입 물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라면서 “이번 방안이 차질 없이 추진된다면 수출입 물류 경쟁력이 높아지는 것은 물론 그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도 클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원문기사 바로보기->

부산시, 2022년까지 초미세먼지 배출량 30% 저감 목표...다양한 대
‘스마트시티 부산시’ 정보화 사업에 속도 낸다